한국 원격 의료 연구의 주요 동향분석
- 공유 링크 만들기
- X
- 이메일
- 기타 앱
I. 한국 원격 의료 연구의 주요 동향분석
한국의 원격 의료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을 기점으로 '비대면 진료'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급격히 발전했으며, 현재는 법 제도화와 기술 고도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.
연구는 주로 안전성 확보, 의료 접근성 향상, 그리고 데이터 및 기술 기반의 서비스 모델 개발에 집중되고 있습니다.
I. 한국 원격 의료 연구의 주요 동향
한국의 원격 의료(Telemedicine)는 넓게는 원격 모니터링, 좁게는 의사-환자 간 비대면 진료를 포괄하며, 연구는 다음 세 가지 핵심 분야에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.
1. 정책 및 제도화 연구 (비대면 진료)
가장 핵심적인 연구 분야로, 한시적으로 허용된 비대면 진료를 정식 제도로 안착시키기 위한 연구입니다.
시범사업 성과 분석: 2023년 6월부터 시행된 비대면 진료 시범사업의 이용 행태(피부, 감기, 만성질환 등), 환자 만족도, 안전성 등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진행됩니다. (2024년 기준 누적 건수 약 1,100만 건 추정)
법적 책임 및 범위: 의료인 간 원격 협진과 의사-환자 간 비대면 진료의 범위를 명확히 구분하고, 오진 및 의료 사고 시의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하는 법제화 방안 연구가 활발합니다.
의료 접근성: 도서·벽지 환자, 감염병 환자, 장애인 등 의료 취약 계층을 중심으로 비대면 진료를 허용하는 방안의 타당성과 효과성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.
2. 기술 및 서비스 모델 연구
AI, ICT 기술 발달과 연계된 융합 기술 연구가 활발합니다.
원격 모니터링 (Remote Monitoring): 웨어러블 기기나 IoT 장비를 활용하여 만성질환(고혈압, 당뇨 등) 환자의 건강 및 임상 정보를 원격으로 수집하고 관리하는 기술 및 시스템 개발에 집중합니다.
디지털 헬스케어 및 AI 의료: 헬스케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질병 예측 AI 프로그램 개발, 그리고 디지털 치료기기 (Digital Therapeutics, DTx)의 임상 및 허가 연구가 원격 의료의 한 축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. (예: 불면증, 시각장애, 중독 치료 등)
상호운용성(Interoperability): 병원, 장비, 시스템 간 의료 데이터 호환성을 높여 원격 진료의 질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중요 과제로 다루어지고 있습니다.
3. 경제성 및 전달체계 연구
원격 의료 도입이 의료 시스템 전체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합니다.
비용 효과 분석: 원격 의료 서비스가 환자 이동 비용 절감, 질병 조기 발견, 생산성 증대 등 경제적 효과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집니다.
의료 수가 (Fee-for-Service): 원격 진료 및 모니터링에 대한 적절한 건강보험 수가 책정 방안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진행 중이며, 이는 원격 의료 활성화의 주요 쟁점 중 하나입니다.
II. 글로벌 시장 대비 한국의 과제
글로벌 원격 의료 시장은 2028년까지 연평균 23.2%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나, 한국은 엄격한 법 규제로 인해 성장이 더딘 편입니다.
| 구분 | 주요 쟁점 및 과제 |
| 법적 쟁점 | 의사-환자 간 원격 진료는 **'대면 진료의 보조적 수단'**이라는 기본 원칙을 깨지 않고 제도화하는 방안 모색. (약 배송, 초진 허용 범위 등) |
| 안전성 | 오진 위험 최소화를 위한 기술적, 제도적 장치 마련 및 의료인 책임 범위의 명확화. |
| 의료 데이터 | 원격 의료의 발전을 위한 양질의 의료 데이터 생성, 관리, 그리고 상호 호환성 확보. |
| 산업 활성화 | 규제 완화를 통해 국내 기업이 해외 진출로 돌파구를 마련하거나, 빅테크 기업의 참여에 대응할 수 있는 플랫폼 전략 연구 필요. |
댓글
댓글 쓰기